등단
1998년 제3회 시와사상 신인상으로 등단. (시 「해바라기」 외 6편)
저서 및 논문
2003년 제1시집 『숨쉬는 무덤』, 천년의시작. (2018년 아침달에서 개정판 복간)
2005년 제2시집 『거인』, 랜덤하우스중앙. (2011년 문예중앙에서 개정판 복간, 2021년 문학과지성사에서 재개정판 복간)
2009년 제3시집 『소설을 쓰자』, 민음사.
2013년 제4시집 『모두가 움직인다』, 문학과지성사.
2013년 『어쩌다 당신이 좋아서』(공저), 곰.
2013년 『나는 천천히 울기 시작했다』(공저), 봄날의책.
2014년 『시인으로 산다는 것』(공저), 문학사상.
2014년 『시인의 사물들』(공저), 한겨레출판.
2015년 『창작의 비밀』(공저), 우공이산.
2017년 논문 「오규원의 동시에 나타난 비동일성의 시적 인식 연구」, 『석당논총』 제68집,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년 산문집 『누구나 가슴에 문장이 있다』, 서랍의날씨.
2018년 제5시집 『한 문장』, 문학과지성사.
2018년 시론집 『시는 어떻게 오는가』(공저), 시인동네.
2018년 제6시집 『너의 알다가도 모를 마음』, 문학동네.
2019년 시론집 『시는 이별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다』, 난다.
2021년 러시아어 번역 시선집 『Напишу роман(소설을 쓰자)』, 조주관 역, 러시아 하이페리온(Гиперион) 출판사.
2021년 제7시집 『백지에게』, 민음사.
2022년 『끝없이 투명해지는 언어 – 오규원의 현재성과 현대성』(공저), 문학과지성사.
주요 수상 경력
2006년 대산창작기금 수혜 (대산문화재단 주관)
2007년 제5회 봉생청년문화상 문학 부문 수상 (봉생문화재단 주관)
2009년 제9회 미당문학상 수상 (중앙일보사 주관)
2009년 동료들이 뽑은 올해의 젊은 시인상 수상 (계간 『시와사상』 주관)
2012년 제13회 박인환문학상 수상 (계간 『시현실』 주관)
2021년 제7회 김현문학패 시 부문 수상 (사단법인 문학실험실 주관)
2021년 제29회 대산문학상 시 부문 수상 (대산문화재단 주관)
주요 심사 경력
2013년 제13회 미당문학상(예심)
2016년 제16회 미당문학상(예심)
2016년 제35회 김수영문학상
201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예심)
2017년 제36회 김수영문학상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예심)
2018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예심)
2019년 국제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
2020년 제21회 현대시작품상
2020년 대산문학상 시 부문(예심)
2020년 제39회 김수영문학상
2021년 제22회 현대시작품상
2021년 제23회 수주문학상
2021년 제1회 한탄강문학상(예심)
2021년 제14회 목월문학상(예심)
2021년 제11회 문지문학상 시 부문
문예지 및 출판사 편집위원 경력
계간 『오늘의문예비평』 편집장
계간 『작가와사회』 편집위원
계간 『시현실』 편집위원
계간 『포지션』 편집위원
아침달시집 큐레이터(기획위원)
월간 『현대시』 편집위원
강의 경력
2011년 ~ 2020년 문지문화원 사이 <시창작> 강의
2011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사창작학과 <시창작세미나> 강의
2013년 명지전문대학 문예창작과 <언어와인간> 강의
2013년 ~ 2021년 서울예술대학교 미디어창작학부 <융합창작랩> <융합창작프로덕션> 강의
2014년 ~ 2021년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학부/대학원 시창작 및 이론 강의
2015년 ~ 2021년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시창작론> <현대시특강> 강의
2018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시쓰기> 강의
2019년 ~ 2021년 인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시창작실기> <현대시론> <문학비평연습> 강의